코로나 19로 인한 원격 수업, 그 이면에는?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하여 전국의 초·중·고에서 개학을 연기하며 처음 ‘온라인 개학’이라는 정책이 등장했다. 교육부는 2020년 3월 31일, 유치원을 제외하고 전국 모든 초중고의 첫 온라인 개학을 시행한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4월 9일 진학을 앞둔 고3·중3 수험생부터 차례대로 온라인 개학이 시행됐다.

 

흔히 IT 강국이라고도 불리는 우리나라, 과연 원격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많은 사람의 기대와 달리, 그 현실은 처참했다. 최근 청와대 게시판에는 원격 수업을 비판하는 청원들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으며, 특히 ‘이건 원격 수업이 아닙니다, 언제까지 우리 아이들을 방치할 예정입니까?’라는 글은 청원 수가 3만 5천에 육박했다. 그들이 꼽은 가장 큰 문제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 교육부가 발표한 아래의 표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 1학기 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한 원격 수업 형태는 EBS나 유튜브 등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다. 학부모들은 이를 두고 사실상의 자율 학습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이에 불안을 느낀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힘을 빌려 자녀의 학습 관리에 더 신경을 쓰면서 학생들의 학업 부담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사교육 의존으로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어 학습격차에 대한 우려도 크다.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20.8.10~14) 중 원격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 학습격차를 뽑은 교사의 비율이 60%를 차지했다. 원격 수업으로 학부모가 아이를 관리하는 분위기가 강해졌다고 해도, 이것이 모든 아이에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소득 수준이 더 높은 학부모가 더 많은 사교육을 아이에게 제공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게다가 교육열이 높은 학부모들은 일을 그만두거나 덜 하는 방식으로 자녀의 학습을 직접 관리하기까지 한다. 등교수업이 없는 평일에 가정형편 기준 상층 가정 학생의 52%는 ‘부모님과 함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하층 가정에선 부모와 함께 있는 학생이 35%로 더 적었다.

 

이러한 교육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교육 안전망 대책을 발표했다.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초등학교 원격 수업의 멘토 2천 명을 확보해, 학생 4만 명을 지원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도 선보인다.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 3천 명에게는 우수교사를 연결하여 컨설팅을 해주는 방식도 있다. 장애 학생과 다문화 학생에게도 대면 지도를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방안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학교와 가정마다 인터넷 환경과 보유기기의 차이 등이 있어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원격 수업을 둘러싸고 우려의 목소리가 높지만, 코로나19의 확산세로 보아 원격 수업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학습권을 충족하고 학부모와 교사의 부담을 덜기 위한 획기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춘천교대 신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