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절대평가’가 처음 도입된 이래, 2018년도 수능이 치러졌다. 정부는 사교육 시장이 점차 과열됨에 따라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축소와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2018년도 수능부터 영어 과목에서 절대평가를 시작했다. 처음 절대평가가 도입된 만큼 학생, 학부모들과 입시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연, 정부가 의도한 대로 절대평가의 취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혹시 부작용은 없을지 알아보도록 하자.

 

 “사교육비, 정말 줄어들었을까?”

 

 교육업체 유웨이 닷컴에서 올해 수능이 끝난 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으로 영어 학습 부담이 줄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3.1%가 줄어들었다고 답했다. 36.9%가 이전과 같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지만 그래도 63%가 줄었다고 느꼈기에 성과가 어느 정도 나왔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학습 부담이 줄어들었다고 답한 사람 중 51.5%가 학습 부담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대학 입시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었다’고 답했다. 그리고 나머지 50%정도의 수험생들은 주로 영어학습을 ‘어느 정도 완성했다’, 또는 ‘향후 영어 시험이 쉽게 출제될 것’이라 답했다.

 그렇지만 학생들의 생각과 달리 현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중앙일보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는데, 전체 응답자 중 78.6%가 자녀의 영어 사교육비 지출 변화에 대해서 ‘이전과 동일하다’고 응답했다. 영어라는 과목 특성상 단기간에 성적을 올리기는 어렵다. 실제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 한 결과 50%에 달하는 학생들이 초등학교 3학년 이전부터 영어 사교육을 시작했다고 답했다. 이렇듯 절대평가가 시행되어도 영어 성적을 어느 정도 잘 받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사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영어 절대평가가 시행됨에 따라 수능 변별력이 낮아질 것 같다는 불안감이 커지며 논술, 면접 등에 대한 사교육비가 증가할 우려가 있고, 대학별 고사가 부활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다른 분야에서 사교육비가 늘어날 것이고 절대평가 시행의 원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학습 부담과 사교육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절대평가 제도의 점검과 다른 부수적인 정책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절대평가의 도입으로 발생할 다른 부작용은 없을까?”

 

 주요 대학 상당수는 절대평가 영어가 쉽게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올해 수시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했다. 그러나 전년도와 영어의 수준은 비슷하게 출제되었다. 따라서 최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합격하는 수험생들이 많아질 수도 있다. 그리고 영어 1등급이 많아짐에 따라 사회탐구, 국어, 수학에 학생들이 더욱 목숨을 걸게 되면서 학습 부담은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절대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절대평가를 진행함에 따라 영어를 몇 십 년간 열심히 공부해서 100점을 맞은 학생과 90점을 맞은 학생을 구분할 수가 없게 된다. 이렇게 개인의 노력이 폄하될 수도 있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입시제도를 바꿀 때에는 더욱 신중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춘천교대 신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